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은 대외 경제 업무를 총괄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산하 기구이다. 1948년 무역성 설치 이후,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쳐 1998년 김일성 헌법 채택에 따라 대외경제성이 신설되었다. 2014년에는 무역성, 합영투자위원회, 국가경제개발위원회를 통합하여 대외경제성이 재출범했다. 대외경제성은 외국인 투자 유치, 경제특구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나, 대북 제재로 인해 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선전성은 1948년 북한 내각에 설치되어 문화예술 정책을 총괄하다 1957년 폐지되었으며, 허정숙이 초대 문화선전상을 맡아 로동신문, 민주조선, 국립민족예술극장 등을 통해 문화예술을 체제 선전과 인민 교화의 도구로 활용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와 정부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와 정부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개요
대외경제성 (김일성 광장)
기본 정보
명칭대외경제성
로마자 표기Dae-oe Gyeongjaeseong
한자 표기對外經濟省
영문 명칭Ministry of External Economic Relations
설립일1998년 9월
이전 기관대외무역성
관할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재지평양직할시 김일성 광장
조직
장관김영재
부상오룡철
관련 기관
상위 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연혁


  • 1948년 9월 2일 - 무역성 설치.
  • 대내외무역성 설립.
  • 1958년 9월 26일 - 대내외무역성 폐지, 무역성 내 대내외무역위원회로 흡수.
  • 1998년 9월 - 김일성 헌법 채택에 따라 대외경제성이 새로 설립.[3][4] 처음에는 모든 국제 경제 활동을 감독했으나, 2010년과 2013년에 설립된 합영투자위원회(JVIC)와 국가경제개발위원회(SEDC)에 관련 업무 일부가 위임되었다. 대북 제재로 인해 대외경제성은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9]
  • 2008년 ~ 2016년 - 리룡남이 장관 역임.
  • 2014년 6월 18일 - 무역성과 합영투자위원회, 국가경제개발위원회를 통합하여 '대외경제성' 신설.

2012년까지 외무성 정면에 있던 카를 마르크스의 초상화

2. 1. 무역성 시기 (1948년 ~ 2014년)

1948년 9월 2일 무역성이 설치되었다. 1958년 9월 26일 대내외무역성이 폐지되고, 무역성 내 대내외무역위원회로 흡수되었다.

2012년, 김정은 지도 체제 출범 이후 변화의 징후로, 평양 김일성 광장의 외무성 정면에서 카를 마르크스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가 철거되기도 하였다.[5]

2. 2. 대외경제성 시기 (2014년 ~ 현재)

2014년 6월 18일 대외경제성이 합영투자위원회(JVIC) 및 국가경제개발위원회(SEDC)와 합병되면서 현재의 대외경제성이 설립되었다.[6][7][8] 세 기관은 모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산하 기구로, 업무에서 많은 중복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극동문제연구소는 "새로운 내각 산하 대외경제성의 설립은 북한의 정체된 국제 경제 협력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며, "이는 대외경제 관련 문제의 의사 결정 및 이행의 효율성을 높이고, 추가 기관 설립으로 인한 혼란과 비효율적인 경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평가했다.[9]

대외경제성은 2018년 10월에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North Korea Tech의 마틴 윌리엄스는 "김정은이 경제 개발을 국가의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남한 기업들이 남북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검토하는 동시에, 국제 사회가 북한에 대해 사상 가장 강력한 제재를 가하고 있는 흥미로운 시점에" 웹사이트가 개설되었다고 언급했다.[10]

3. 역대 상, 부상

역대 대외경제상과 부상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재임 기간비고
대외경제상임해1958년 9월 26일 ~ ?
황태성? ~ 1961년서리, 무역성 부상 겸직
리일경1962년 10월 23일 ~ 1966년
계응태1967년 12월 ~ 1970년
1970년 ~ 1972년 12월
1972년 12월 ~ 1977년 1월무역부장, 1976년 12월 부총리 겸직
1977년 1월 ~ 1981년 5월경공업위원장 전출
강정모1998년 9월 1일 ~ 1999년 12월
리광근1999년 12월 ~ 2004년 4월종합설비수출입회사 사장
림경만2004년 4월 ~ 2008년 3월
리룡남2008년 ~ 2016년 9월
김영재2016년 9월 ~ 2021년 1월
윤정호2021년 1월 ~
부상박영빈? ~ ?
김광? ~ ?
황태성? ~ 1961년
계응태1962년 2월 ~ 1967년 12월
리일경? ~ 1962년 10월 23일
김봉익1998년 9월 2일 ~ ?
리룡남2001년 3월 ~ 2004년 10월
2004년 10월 ~ 2008년 3월
김영재2001년 5월 ~ 2004년 10월
2004년 10월 ~ 2006년 9월
오룡철2012년 ~ ?
합영투자위원회 위원장리광근2010년 8월 ~ 2014년 6월 18일대외경제성에 통합으로 인하여 해임[1]


3. 1. 역대 상 (무역상, 대외경제상)

이름재임 기간비고
임해1958년 9월 26일 ~ ?
황태성? ~ 1961년서리, 무역성 부상 겸직
리일경1962년 10월 23일 ~ 1966년
계응태1967년 12월 ~ 1970년
계응태1970년 ~ 1972년 12월
계응태1972년 12월 ~ 1977년 1월무역부장, 1976년 12월 부총리 겸직
계응태1977년 1월 ~ 1981년 5월경공업위원장 전출
강정모1998년 9월 1일 ~ 1999년 12월
리광근1999년 12월 ~ 2004년 4월종합설비수출입회사 사장
림경만2004년 4월 ~ 2008년 3월
리룡남2008년 ~ 2016년 9월
김영재2016년 9월 ~ 2021년 1월
윤정호2021년 1월 ~


3. 2. 역대 부상

이름재임 기간
박영빈? ~ ?
김광? ~ ?
황태성? ~ 1961년
계응태1962년 2월 ~ 1967년 12월
리일경? ~ 1962년 10월 23일
김봉익1998년 9월 2일 ~ ?
리룡남2001년 3월 ~ 2004년 10월
김영재2001년 5월 ~ 2004년 10월
리룡남2004년 10월 ~ 2008년 3월
김룡술1999년 12월 ~ ?
김영재2004년 10월 ~ 2006년 9월
오룡철2012년 ~ ?


3. 3. 역대 합영투자위원회 위원장


  • 리광근: 2010년 8월 ~ 2014년 6월 18일, 대외경제성에 통합으로 인하여 해임[1]

4. 비판 및 논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비판 및 논란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Korea, North - ND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8-06-21
[2] 웹사이트 21st Pyongyang Spring Int'l Trade Fair Opens http://www.naenara.c[...] 2018-10-18
[3] 서적 North Korea business factbook https://books.google[...] KOTRA
[4] 웹사이트 Review of DPRK's Revised Constitution (1) http://www2.law.colu[...] 1998
[5] 웹사이트 Lenin and Marx portraits removed from Pyongyang's central square http://www.pravdarep[...] 2018-10-18
[6] 웹사이트 DPRK creates Ministry of External Economic Affairs http://www.nkeconwat[...] 2018-10-17
[7] 웹사이트 North Korea's Ministry of External Economic Affairs stresses business at economic development zones is gaining momentum http://www.nkeconwat[...] 2018-10-17
[8] 웹사이트 Rodong Sinmun calls for strengthening the cabinet in economic matters http://www.nkeconwat[...] 2018-10-17
[9] 웹사이트 North Korea Establishes 'Ministry of External Economic Affairs' to Oversee Economic Cooperation and Attraction of Foreign Capital http://ifes.kyungnam[...] IFES 2014-06-26
[10] 웹사이트 North Korea launches another new website, this time for international trade https://www.northkor[...] 2018-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